본문 바로가기
정부 정책

청년도약계좌, 청년의 내일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자세하게 알아보기

by 퐌규 2023. 5. 5.

2023년 6월 2030 청년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월 70만원을 5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 최대 40만원을 포함하여 만기 시 약 5,000만원을 적립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시행됩니다. 만 19~34세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책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고 정부가 월 최대 40만원씩을 보태 약 5,000만원을 저축할 수 있는 할 상품으로, 만기는 5년입니다.

 

※ 청년내일 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지차체 상품에도 동시 가입가능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무엇인가요?

 가입조건으로는 나이제한, 개인소득 제한, 가구소득 제한 등이 있습니다.

1) 나이 : 만 19세~34세 이며,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계산 시 제외합니다.

 

 

2) 개인소득기준 : 7500만원 이하

  • 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 비과세 적용
  • 총급여 기준 6,000~7,500만원인 경우 : 비과세 적용 (단, 정부기여금 미지급)
  •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긋종학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 금융소득(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의 함)이 2,000만원 초과인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3) 가구소득 기준 :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

 

나의 중위소득 확인하기 바로가기

자신의 중위소득 확인하기

www.index.go.kr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가구원 수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3,741,000 132,975 85,637 134,375
2인 6,222,000 222,624 187,378 226,361
3인 7,983,000 284,769 264,991 291,898
4인 9,722,000 346,067 335,569 359,887
5인 11,396,000 434,962 4346,179 476,875
6인 13,011,000 476,875 481,248 521,613
7인 14,594,000 521,613 527,523 563,270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의 중요사항은 무엇인가요?

기여금 지원가입자의 경우 :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매칭 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본인 납입한도 (月) 기여금 지급한도 (月)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 (月)
2,400만원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 - -

(금리구조)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3년 고정금리이고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 

최종 만기 수령액은 본인 납임금과 정부 기여금, 경과 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은?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매월 2주간 신청자 모집하고 신청접수 후에 나머지 2주간 심사 하여 최종 가입자를 통보합니다.

만기일이 5년뒤이기 때문에 가입기간 동안 소득분위에 신경쓰셔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